산야초

톱풀

약초 사랑 2009. 4. 20. 07:52

 

 

 톱풀 ㅡ 오공초 [蜈 蚣 草 ]

 

입 , 줄기 전초을 약용

맛은 쓰고 맵다

성질은 조금 따스하다

 

 우리나라 산기슭, 길섶, 개울가, 풀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풀잎이 마치 쌍날 톱을 닮은 특이한 산야초 톱풀.

이 풀은 오래 먹으면 신선이 된다하여 신초(神草)라는 이름을 얻었다.

 

톱풀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산야초로 다 자라면

키가 35∼110㎝나 되고 곧게 한곳에 여러대가 모여서 자라며,

잎은 6∼10㎝정도로 잎자루가 없으며 밑부분이 조금씩 줄기를 감싸고

잎의 양쪽 가장자리가 규칙적으로 깊게 갈라진 것이 마치

쌍날의 톱니를 빼 닮았다.

 

꽃은 흰색으로 7~10월에 가지 끝에 모여서 피는데 향기가 좋고

꽃이 상당히 오래 동안 시들지 않아  어떤 나라에서는 드라이플라워로

이용하기도 하며,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으며 길이 3㎜, 너비 1㎜로

양끝이 납작하며 털이 없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잔뿌리가 많다.

 

 

차(茶)를 즐길 경우 잎을 덖거나 전초를 말렸다가 우려 마시면 뛰어난

강장효과로 식욕이 증진되고 감기에 잘 걸리지 않으며 몸에 힘이 생긴다.

 

약술을 좋아하면 6∼9월에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물기를 말려 사용하거나 햇빛에 건조시켜 주침하면 관절염, 신경통, 요통, 풍습에 좋다.

 

봄철에 어린잎을 뜯어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맛나게 무쳐 먹으면 입맛을

돋우는 데 좋다.

     쓴맛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소금물에 담궈 우려내거나 기름에 살짝 볶아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민간요법에서는 평소 몸이 허약한 사람이 오래도록 먹으면 쇠약해진 기력을

회복하고 푸석한 살결이 옥처럼 고와지며 뇌의 기능이 향상되어 예지력과

기억력이 좋아진다고 하였다.

 

톱풀엔 강한 살균작용, 수렴작용, 지혈작용, 소독작용이 있어

칼 등에 베이거나 찔려 피가 날 때 생잎을 짓찧어 바르고 말린 것을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면 아주 좋다.

 

프랑스에서는 지금도 톱, 대패, 칼, 낫, 못 등에 다친 경우 민간요법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그 효과가 탁월하여 이 약초를 일명 '목수의 허브'

 

생잎을 입에 넣고 지근지근 씹으면 치통을 멎게 하고, 달인 물은 치질,

신경통, 관절염에 자주 바르고 찜질을 하며, 대머리 예방을 위해선

이 물로 머리를 감는다.

 

 

타박상엔 생잎과 천일염을 조금 섞어 아픈 부위에 붙이고 갖가지 통풍이나

자궁출혈, 장출혈, 위염에는 이 약초를 여름과 가을,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빛에 말렸다가 달여 마신다.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 가려움증에 소르쟁이  (0) 2009.05.11
페결핵에 좋은 머위  (0) 2009.05.04
류마티스 관절염에 좋은 수영  (0) 2009.04.13
두릅  (0) 2009.04.06
양지꽃  (0) 2009.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