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과 무기력증에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 ㅡ 음양곽[ 淫 羊 藿 ]
잎과 줄기를 약용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신양이 허약해서 오는 발기부전. 유정. 허리 무릅
연약과 무기력증에쓴다
생약명은 음양곽이다
매자나무과 삼지구엽초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삼지구엽초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자라고 있다.
한포기에서 여러줄기가 나오며 높이는 약 30cm이다.
음양곽(淫羊藿)에는 에피메딘(epinmedin)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성 호로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정수를 풍부하게 해준다.
또 디소메칠 이카린(desomethyl icariin)이라는 성분도 있어 말초 신경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관의 확대 작용을 일으켜 남근의 해면체를 팽창시키고, 흥분을 유도하는 최음(催淫) 작용을 한다.
그리고 양위(陽萎) 증상이나, 소변을 자주 복거나, 풍(風), 한(寒), 습(濕)으로 오는 신경통에 효과가
있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자양강장작용, 강정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평천작용, 이뇨, 부스럼, 건망증, 히스테리, 신경쇠약, 음위증, 건위, 소화불량, 류마티즘, 전신불수,
성호르몬 장애, 성기능장애, 월경장애, 피로회복, 저혈압, 불면증, 식욕증진, 허리 냉증, 요통,
무릎통증, 소아마비, 만성기관지염을 다스린다.
분포는 지리산 및 중부 이북에 분포하며 일본과 중국 동북 지방, 우수리 지역에도 자생하고 있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8월에 익는다.
근경은 단단하고 옆으로 뻗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보통 총생하며 밑에 비늘 조각이 있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경생엽은 잎자루가 약간 짧으며 잎은 대개 2회 3출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10cm 가량이고 잎자루가 있고 난형에 끝이 뾰족하다. 밑은 심장형이다.
가장자리에는 가시 모양의 털같이 생긴 가는 톱니가 있다.
꽃은 노란빛을 띤 백색이며 겹총상화서로 성기게 붙고 아래를 향해 매달리며 꽃자루가 길다.
꽃받침은 8장이고 꽃잎 모양의 보라색이다. 꽃잎은 4장이고 둥근 모양이며 긴 거(距)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가느다란 삭과이다.
줄기 끝이 3개의 가지로 갈라지고 각각에 3장의 잎이 달려 있어서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삼지구엽초의 다른 이름은 음양곽(淫羊藿, 강전:剛前: 신농본초경), 선령비(仙靈脾: 뇌공포구론),
선령비(仙靈毘: 유유주집), 방장초(放杖草, 기장초:棄杖草, 천량금:千兩金, 건계근:乾鷄筋,
황연조:黃連祖: 일화자제가본초),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본초도경), 우각화(牛角花, 동사초:銅絲草, 철타저:鐵打杵: 귀주민간방약집), 삼차골(三叉骨, 폐경초:肺經草, 철릉각:鐵菱角: 호남약물지)등으로 부른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삼지구엽초인 음양곽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삼지구엽초(Epinedium koreanum Nakai)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지방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여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신경, 간경에 작용한다.
신양(腎陽)을 보하고 정기(精氣)를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풍습(風濕)을 없앤다.
강정작용, 이뇨작용(다량에서는 소변량을 줄인다). 강압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리카리인'이 강정작용을 나타낸다고 본다.
음위증, 성신경쇠약, 성호르몬장애 등에 쓰며 배뇨장애, 이명, 건망증, 비증(痺證),
월경부조 등에도 쓴다.
허약한 사람의 보약으로도 쓴다. 하루 6~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음양곽과립제: [방제] 음양곽엑기스(물기를 없앤 것) 285g, 음양곽가루 700g [약전].
강장, 강정약으로 쓴다.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 과립제 제법에 따라 전량 1,000g 되게 과립제를 만든다.
한번에 2g씩 하루 3번 먹는다.]
주의사항으로 음(陰)이 허(虛)하고 상화(相火)가 쉽게 동(動)하는 경우는 금기이다.
<신농본초경집주>: "음양곽은 서여(薯蕷)를 사(使)로 한다."
<일화자제가본초>: "음양곽은 자지(紫芝)을 사(使)로 한다. 술과 배합하여 쓰면 좋다."
<신농본초경소>: "허양이거(虛陽易擧), 몽유부지(夢遺不止), 변적구건(便赤口乾), 강양불위(强陽不痿)인 사람은 이것을 복용하면 안 된다."
음양곽의 뿌리를 음양곽근이라고 한다.
뿌리의 성분은 des-o-methylicariin을 함유한다.
백탁(백탁), 백대(백대), 월경불순, 현기증, 소아 야맹증을 치료한다.
하루 19~37.5g을 물로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된다.
치통에는 음양곽를 양에 관계없이 거친 가루를 내어 달여서 양치질한다. [기효양방, 고아산]
시력 감퇴아 각막 혼탁에는 음양곽, 생왕과(生王瓜: 소괄루(小栝樓)의 빨간 것) 같은 양을 가루내어
매회 3.75g을 차로 1일 2회씩 복용한다. [성제총록]
반신 불수, 수족 불수, 피부 마비에는 음양곽 600g을 곱게 부수어 명주 주머니에 넣어
삼출성이 없는 용기 안에 무회주(無灰酒) 2말에 담그고 두꺼운 종이를 겹쳐서
봄과 여름에는 3일 동안, 가을과 겨울에는 5일 동안 밀봉하여 공기가 통하지 않게 한다.
매일 수시로 덥혀 마시는데 너무 취하면 안된다. [태평성혜방][담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