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해방풍

약초 사랑 2009. 7. 13. 07:39

 

 

해방풍 ㅡ 빈방풍 또는 해사삼

 

성질은 따뜻하며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해방풍은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로 바닷가 부근의 모래밭이나

바위 절벽에 붙어서 자란다.

겨울철에더 잎이 시들지 않으며 갯방풍 또는 빈방풍이라고도 하며

잎이나 뿌리를 나물로 무쳐서 먹기도 한다.

 

동해 바닷가에 많이 서식하는 해방풍 ㅡ 북사삼은 페질환에 특히 효혐이 좋다

 

 

이름 그대로 중풍을 막아주고 기침과 가래를 없애는데

탁월한 효력이 있는 약초로, 예로부터 구룡 반도의

바위벼랑에서 소금기를 머금은 세찬 바닷바람을 맞으며 자란 것이 단연 약효가 으뜸인 것으로 비밀리에 전해 왔다.

 

 

  높이 30~40센티미터쯤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두 번 세 개로

갈리지며 쪽잎은 타원형이다.

전체에서 특이한 향기가 나며, 여름철에 흰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피고

가을에 날개가 붙은 타원형의 납작한 열매가 달린다.

 

 

 

해방풍 술

소주에 담궈 3일 만에 마시면 된다]

허준의 동의 보감에 보면  

36가지 풍증을 치료하며 오장을 좋게 하고

어지럼증,통풍,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저린것을 치료한다

식은 땀을 먹추고 정신을 안정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해방풍은 중풍을 치료하는데 신효한 효능이 있고 폐를 튼튼히 하는데

놀라운 효가 있다

 

★ 해방풍을 술로 담가서 먹으면 오래된 중풍을 고칠 수 있다고 하네요 

 

 

★ 해방풍을 다른 이름으로 북사삼(北沙蔘)이라고도 한다. 

 

 한의학에서 흔히 쓰는 방풍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해방풍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방풍은 한의학에서 두통, 중풍, 감기, 뼈마디가 아픈 데, 땀이 나게 하는데 등에

널리 쓰며 해방풍보다 약효가 낮다.  

  민간 의학에서는 정신병, 간질, 폐암, 불임증, 관절염, 중풍, 소아마비, 나병 등을

약초를 쓴다고 한다

 

중풍, 무릎관절염, 나병등을 치료 할 때 반드시 해방풍을 쓴다

그러나 해방풍은 재배하는 곳도 없고 자생하는 것도 드물어 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고 했다. 

 옛 의학책에 방풍으로 적혀 있는 것은 모두 해방풍을 쓰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방풍을 쓰면 별 효과가 없지만 해방풍을 쓰면 틀림없이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해방풍 뿌리는 폐를 튼튼하게 하는 데 특효다.

 

폐결핵, 폐염 기관지염, 가래, 기침등 모든 호흡기 질병에 뛰어난 효력을 발휘한다.

감기로 인해 열이 날 때 머리가 아플 때, 구안와사로 얼굴 한쪽이 마비되었을 때 등에도 효과가 좋다.

 

 

가을이나 겨울철에 뿌리를 캐서 대나무 칼로 겉껍질을 벗겨

말린 다음 잘게 썰어 불에 살짝 볶아서 약으로 쓴다.

이것을 하루 30그램쯤을 물 1.8리터에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폐결핵이나 기관지염에 꾸준히 마시면 틀림없이 큰 효험을 볼 수 있다.

안면 신경 마비나 가벼운 중풍도 오래 마시면 반드시 풀린다.

우리 땅의 동쪽 끝 바위 벼랑에서 날마다 아침 첫 햇살을 한아름 받으며 자라는 해방풍은 하늘이 우리에게  준 또 하나의 신령한 보물이다

 

 

 

 

 

봄에 연한 잎으로 삼겹살과 함께 싸 먹으면 향과 맛이 일품이다

 

입안 가득 해방풍 향이 가득하니 그 향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